★Java Detail★

Java 03. 변수 (variable)

지댕댕 2023. 5. 18. 09:00
728x90

프로그래밍언어에서 변수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상의 공간을 의미한다. 이 공간에 저장된 값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변수라는 수학용어의 정의와 상통하는 면이 있어서 이렇게 이름이 붙여졌다. "변수란, 단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이다" 하나의 변수에 단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값을 저장하면 기존의 값은 사라진다.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변수를 사용하려면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 하는데, 변수의 선언방법은 다음과 같다. int(변수타입) age(변수이름); // age라는 변수를 선언 '변수타입'은 변수에 저장될 값이 어떤 타입(Type)인지를 지정하는 것이다. 저장하고자 하는 값의 종류에 맞게 변수의 타입을 선택해서 적어주면 된다. 자바는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등 다양한 타입을 제공한다. '변수이름'은 말 그대로 변수에 붙인 이름이다. 변수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이므로 변수의 이름은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붙여주는 것이다. 그래야 그 이름을 이용해서 저장공간(변수)에 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읽어오기도 할 수 있는 것이다. 당연한 얘기지만 같은 이름의 변수가 여러 개 존재해서는 안된다. 서로 구별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의 빈 공간에 변수타입에 알맞은 크기의 저장공간이 확보되고, 앞으로 이 저장공간은 변수이름을 통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t(변수타입) age(변수이름);  이 문장은 변수 age를 선언한다. 이 변수는 나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나이는 정수(integer)이므로 변수의 타입을 int로 지정하였다. 

변수의 초기화

변수를 선언한 이후부터는 변수를 사용할 수 있으나, 그전에 반드시 변수를 초기화(initialization) 해야 한다. 메모리는 여러 프로그램이 공유하는 자원이므로 전에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저장된 알 수 없는 값(쓰레기 값, garbage value)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는 대입 연산자 "="를 이용한다. 수학에서는 양변의 값이 같다는 뜻이지만, 자바에서는 오른쪽의 값을 왼쪽(변수)에 저장하라는 뜻이다. 그래서 대입연산자의 왼쪽에는 반드시 변수가 와야 한다. 변수의 종류에 따라 변수의 초기화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변수는 사용되기 전에 적절한 값으로 초기화 하는 것이 좋다.

[참고] 지역변수는 사용되기 전에 초기화를 반드시 해야 하지만 클래스변수와 인스턴스 변수는 초기화를 생략할 수 있다. 변수의 초기화란, 변수를 사용하기 전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