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다식이란? 람다식은 JDK1.8부터 추가되었다. 람다의 도입으로 자바는 객체지향언어인 동시에 함수형 언어가 되었다. 람다식은 간단히 말해서 메서드를 하나의 '식(expression)'으로 표현한 것이다. 람다식은 함수를 간략하면서도 명확한 식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해 준다. 메서드를 람다식으로 표현하면 메서드의 이름과 반환값이 없어지므로, 람다식을 익명함수(anonymous function)이라고도 한다.
위에 작성된 아래쪽 코드에서 () ㅡ> (int) (Math.random()*5)+1이 람다식이다. 위에쪽 코드의 메서드보다 람다식이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다. 모든 메서드는 클래스에 포함되어야 하므로 클래스도 새로 만들어야 하고, 객체도 생성해야만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다. 그러나 람다식은 이 모든 과정 없이 람다식 자체만으로도 메서드의 역할을 대신 할 수 있다. 람다식은 메서드의 매개변수로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고, 메서드의 결과로 반환될 수도 있다. 람다식으로 인해 메서드를 변수처럼 다루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람다식은 익명함수라는 이름처럼 메서드에서 이름과 반환타입을 제거하고 매개변수 선언부와 몸통{} 사이에 ㅡ>를 추가한다.)
메서드와 함수의 차이는, 프로그래밍에서 함수라는 이름은 수학에서 따온 것이다. 수학의 함수와 개념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객체지향개념에서는 함수(function)대신 객체의 행위나 동작을 의미하는 메서드(method)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메서드는 함수와 같은 의미이지만, 특정 클래스에 반드시 속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기존의 함수와 같은 의미의 다른 용어를 선택해서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제 다시 람다식을 통해서 메서드가 하나의 독립적인 기능을 하기 때문에 함수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34. 중첩 클래스와 중첩 인터페이스 (nested class) (0) | 2023.04.06 |
---|---|
Java 32. TreeSet (0) | 2023.04.04 |
Java 31. HashSet (0) | 2023.04.03 |
Java 30. Map collection (0) | 2023.04.02 |
Java 29. 추상클래스, 추상메서드 (abstract class, abstract method) (0) | 2023.04.01 |